본문 바로가기
클린 코드

6장. 객체와 자료 구조

by 아토로 2022. 3. 1.

오늘 읽은 범위

  • 6장. 객체와 자료 구조

기억하고 싶은 내용

  • 자료 추상화 (p.118)
    • 변수를 private으로 선언하더라도 각 값마다 조회(get) 함수와 설정(set) 함수를 제공한다면 구현을 외부로 노출하는 셈이다.
    • 구현을 감추려면 추상화가 필요하다!
  • 자료/객체 비대칭 (p.119)
    • 객체: 추상화 뒤로 자료를 숨긴 채 자료를 다루는 함수만 공개한다.
    • 자료 구조: 자료를 그대로 공개하며 별다른 함수는 제공하지 않는다.
    • 객체 지향 코드는 기존 함수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새 클래스를 추가하기 쉽다.
    • 절차적인 코드는 기존 자료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새 함수를 추가하기 쉽다.
  • 디미터 법칙 (p.123)
    • 모듈은 자신이 조작하는 객체의 속사정을 몰라야 한다는 법칙이다.
    • 자료 구조라면 당연히 내부 구조를 노출하므로 디미터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.
    • 추상화된 메서드로 위임하면 내부 구조를 드러내지 않고, 모듈에서 해당 함수는 자신이 몰라야 하는 여러 객체를 탐색할 필요가 없어진다.
  • 자료 전달 객체 (p.126)
    • 자료 구조체의 전형적인 형태는 공개 변수만 있고 함수가 없는 클래스다. 이런 자료 구조체를 때로는 자료 전달 객체(DTO)라 한다.
    • 좀 더 일반적인 형태는 빈(bean) 구조다.
    • 활성 레코드는 자료 구조로 취급한다.
  • 시스템을 구현할 때, 새로운 자료 타입을 추가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면 객체가 더 적합하다. 다른 경우로 새로운 동작을 추가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면 자료 구조와 절차적인 코드가 더 적합하다. (p.128)

소감 및 생각

  • 객체와 자료구조의 차이와 장단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개발을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. 깊은 이해없이 개발을 하다보니 대부분의 클래스들이 잡종 구조가 되어버리는 불상사를 많이 보았다.
  • 디미터 법칙을 위반하지 않고 개발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. 적절한 추상화와 위임을 구현하지 못해 벌어진 일이었을 것이다. 자료 구조는 디미터 법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약간의 죄책감은 덜 수 있을 것 같다.

새롭게 배운 개념

  • 활성 레코드

'클린 코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9장. 단위 테스트  (0) 2022.03.06
7장. 오류 처리  (0) 2022.03.04
5장. 형식 맞추기  (0) 2022.02.28
4장. 주석  (0) 2022.02.25
3장. 함수  (0) 2022.02.23

댓글